불용문자의 이해
한글과 한문 혼용체를 국시(國是)로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작명할 때 뜻이나 기(氣)가 천하고 흉(凶)한 글자와 드물게 쓰이거나 지나치게 쓰기 어려운 글자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는 불용문자(不用文字)라는 것이 사회적 통설로 전해져오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전해져 내려오는 불용문자는 성명학적으로 음(音)과 훈(訓) 뜻이 부적합하여 오늘날의 사회적 통념상 도저히 명(名)자로 받아들이기 곤란한 불용한자(不用漢字)와 명(名)자로 사용하면 흉(凶)한 작용을 한다고 꺼리는 불길한자(不吉漢字)로 구분합니다.
불용한자
음(音)과 훈(訓) 뜻이 부적합하여 오늘날 사회 통념상 성명학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불용한자입니다.
欺 속일 (기) 姦 간사할 (간) 犬 개 (견) 苦 슬 (고 괴로울) 哭 울 (곡) 骨 뼈 (골) 怪 기이할 (괴) 橘 (귤) 鬼 귀신 (귀) 劍 칼 (검)
怒 성낼 (노) 惱 괴로워할 (뇌)
盜 훔칠 (도) 毒 독 (독) 刀 칼 (도) 痛 아플 (통) 濁 흐릴 (탁)
了마칠 (료) 淚 눈물 (루)
蠻 오랑캐 (만) 冥 어두울 (명) 亡 망할 (망) 盲 소경 (맹)
貧 가난할 (빈) 犯 범할 (범) 墳 무덤 (분) 秕 쭉쩡이 (비) 病 병 (병) 敗 깨뜨릴 (패)
死 죽을 (사) 喪 죽을 (상) 愁 시름 (수) 衰 쇠할 (쇠) 傷 상처 (상)) 殊 죽일 (수) 殺 죽일 (살)
爭 다툴 (쟁) 障 가로막을 (장) 刺 찌를 (자) ) 債 빚 (채)
惡 악할 (악) 淫 음란할 (음) 泣 울 (읍) 辱 욕되게할 (욕) 疫 염병 (역) 弱 약할 (약) 厄 재앙 (액) 哀 슬플 (애) 殃 재앙 (악), 餓 주릴 (아)
凶 흉할 (흉) 患 근심 (환) 貨 재화 (화) 血 피 (혈) 嶮 험할 (험) 害 해할 (해)
자연의 이름이라 피하는 한자
天 地 日 月 星 春 夏 秋 冬 金 銀 石 山 江
자의나 어원을 나타내므로 피하는 한자
妃 非 悲 亞 兒 牙
성(城)자나 다른 명(名)자에 같이 쓰일 때 피하는 한자
李씨 성의 志, 智
불길한자
불길한자 중에서도 개개인의 사주에 부합하는 대법원 인명용 한자는 다양하게 쓰이기도 하지만, 특히 한자의 뜻이나 기(氣)가 천하고
흉(凶)한 글자와 대법원 인명용 한자라 하더라도 사주에 부합하지 않고 어려운 글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甲 첫째 (갑) - 관재구설과 질병
庚 별 (경) - 머리는 좋으나 부모덕이 없고 고독, 재운 불리, 질병
光 빛 (광) - 머리는 좋으나 허약, 단명, 재운에 풍파
鑛 쇳덩이 (광) - 막힘이 많고 고독, 고뇌, 고난을 암시
龜 거북 (구) - 지나치게 강직하거나 온순한 성격, 박명하다.
九 아홉 (구) - 종말을 의미
國 나라 (국) - 정신이나 육체 허약, 쇠약, 조난이나 요절
菊 국화 (국) - 매우 약하다. 고독과 불운의 연속, 무덕, 박약
貴 귀할 (귀) - 부모덕이 없고 재운과 자손에 불운, 병고
極 지극할 (극) - 부모덕이 없고 빈천
錦 비단 (금) - 고독, 고난
吉 길할 (길) - 하천, 불화, 조난, 천한 인품으로 유도
南 남녁 (남) - 남자는 무난하나 여자는 부모덕이 없다.
男 사내 (남) - 배우자 덕이 없으며 가정불화가 잦다.
女 계집 (녀) - 하천, 불의 재난, 산재, 고난, 고독
德 큰 (덕) - 말년 고독
桃 복숭아 (도) - 끈기가 없고 허영, 고난, 이별, 슬픔, 병고
挑 돋을 (도) - 인내력이 부족, 질병
乭 이름 (돌) - 하천, 형제 분산, 불우, 빈곤, 단명
東 동녘 (동) - 단정하나 근심, 걱정, 자존, 수심
冬 겨울 (동) - 강성, 흉사, 자손 근심
童 아이 (동) - 막힘, 고독, 고뇌, 우매
良 어질 (량) - 배짱은 크나 단절운
了 마칠 (료) - 종말을 암시
龍 용 (룡) - 귀천의 성패 많고 고독, 고난, 戌亥生은 특히 불길
留 머무를 (류) - 불성, 불화, 부진의 불운
馬 말 (마) - 경솔, 비천
滿 찰 (만) - 초반 부운, 후반 빈곤
末 끝 (말) - 종말, 신고, 고독, 무덕, 부부운 박약
梅 매화 (매) - 의지는 강하나 허영, 향락, 과부, 이별, 슬픔, 고독, 병고
命 목숨 (명) - 고독, 재액
明 밝을 (명) - 성품이 온순하고 머리 좋으나 실패, 단명, 굴곡
文 글월 (문) - 부모 부부운 박덕, 시상에 괴로움
美 아름다울 (미) - 온유하나 허영, 사치, 조난, 비운
敏 민첩할 (민) - 성질이 불같고 날카로워 불성, 불화, 정신 박약, 단명운
法 법 (법) - 고지식, 재해, 재난
福 복 (복) - 성질이 거칠어져 고난, 재난, 고독, 빈천
富 부자 (부) - 처음은 좋으나 쇠패, 단명 불운, 여자는 무난
分 나눌 (분) - 과부가 많다.
粉 가루 (분) - 과부가 많다.
不 아니 (불) - 항상 불충분하고 되는 일이 없다.
四 넉 (사) - 조난, 단명
糸 실 (사) - 극히 적다. 고독, 박복
山 뫼 (산) - 고지식, 강직, 불우, 비운
殺 죽일 (살) - 허무한 종말上 위 (상) - 진실하고 고결한 성질이나 형극, 하극상
霜 서리 (상) - 용두사미, 단절, 멸실
石 돌 (석) - 옹고집, 꾀하는 일마다 실패, 박명
雪 눈 (설) - 처음은 그럴 듯하나 실패, 탄식, 고독
星 별 (성) - 꿈은 크나 이루어지지 않아 불행, 단명, 헛수고, 허황
笑 웃음 (소) - 뜻밖의 재앙으로 비참한 운명
松 솔 (송) - 투지는 있으나 재운, 박약, 산재, 단명, 고독, 불길
壽 목숨 (수) - 단명, 하천
順 순할 (순) - 눈물, 탄식, 하천, 중년 불운, 불화, 불길
勝 이길 (승) - 활달하나 고독, 재난, 고난
新 새 (신) - 성질은 온순하나 고독, 고뇌, 병약, 단명
伸 펼 (신) - 발전과 막힘이 잇따라 오고 불행, 고독
神 귀신 (신) - 무섭고 위험
實 열매 (실) - 정결한 성격, 단절, 고독, 조난, 불길
愛 사랑 (애) - 비애, 부부 이별, 성질은 온순하나 가정 불화, 정신박약
榮 영화 (영) - 단정하나 재난, 재앙, 수심
玉 구슬 (옥) - 쇠패, 산재, 고독, 신음
完 완전할 (완) - 강직, 성패 반복, 고독, 고난
隅 모퉁이 (우) - 부부 이별, 부모 무덕, 타향살이, 고독, 재난
雲 구름 (운) - 우애 없고 산재, 호에는 무관
元 으뜸 (원) - 형제 자손에 수심
月 달 (월) - 감정 풍부, 낭만적, 의지 박약, 불성, 고독, 호에는 무관
翠 (위) - 융통성이 없고 배신을 당하며 부부간에 생리사별이 따른다.
銀 은 (은) - 강직하고 불운, 비운, 재앙
伊 저 (이) - 배짱은 크고 마음이 작아 소득이 없다
仁 어질 (인) - 후덕한 성격이나 박복, 고난, 질병
寅 범 (인) - 불손, 과격, 고독, 병고, 신유생은 불용
日 날 (일) - 부모덕 없고 깨끗한 성격이나 고독
子 아들 (자) - 재액, 재앙, 불화, 정신 박약, 축미생은 불용
長 길 (장) - 허영, 욕심, 과욕, 불운, 허세, 불행
柱 기둥 ㈜ - 머리는 좋으나 육친 무덕, 파산, 고독, 신음
竹 대 (죽) - 불굴의 의지, 박복, 수심
重 (중) - 배우자와 이별을하고 사고와 질병이 따른다.
地 땅 (지) - 기초는 좋으나 재액, 조난, 단명
眞 참 (진) - 성질은 온유하나 재난, 불운
珍 보배 (진) - 고집 세고 무덕, 자손운 불길, 고독, 고난
進 나아갈 (진) - 발전이 끊기고 고난, 고뇌, 신고
千 일천 (천) - 치밀한 성격, 무덕, 타향살이, 불운, 인덕이 없고 보증으로 인한 재물손실이 발생한다.
川 내 (천) - 산재, 형제 불목, 고난, 고독, 변덕이 심하고 관재구설이 따르며 재복이 없다
天 하늘 (천) - 극도로 잘되거나 천하게 된다. 무덕, 빈한, 배우자복이 없고 고독하다.
鐵 쇠 (철) - 영리하나 강기 아집으로 실패, 손재, 고독, 인내력이 부족하며 부부가 생리사별한다.
初 처음 (초) - 끈기가 없고 나태, 고난, 재난, 관재구설이 따르고 이성문제가 발생한다.
草 (초) - 허영심이 있고 인덕이 없어 배신을 당한다.
秋 가을 (추) - 정신박약, 불운, 단명, 고독, 인덕이 없으니 일생동안 흉망이 교차한다
春 봄 (춘) - 의지박약, 단절, 고독, 여자는 이성관계 복잡, 과부, 일시적인 대성은 있으나 허영으로 살패한다.
出 (출) - 고집이 강하고 허영심이 많고 남녀 공히 배우자복이 박하다.
忠 (충) - 생사극단을 넘겨야하고 조난 단명을 초래한다.
治 다스릴 (치) - 종결, 허무
七 (칠) - 성격이 급하고 책임감이 부족하다.
泰 클 (태) - 욕망 과다, 게으르고 흥망의 기복, 불운, 동생이름에 사용하면형의 운이 막히게 된다.
平 평평할 (평) - 평온한 성격이나 경솔, 단절, 쇠약/ 삶에 역경이 많고 건강상 잔병치레가 많다.
豊 풍년 (풍) - 미약, 재운 자손 불길, 파산
風 바람 (풍) - 어지럽고 불안, 초조, 재산이 일시에 사라진다.
夏 여름 (하) - 파란곡절, 불성, 재산을 탕진하기 쉽고 배신을 당하며 이성문제가 발생한다.
鶴 두루미 (학) - 신수부침이 심하다. 불길, 박명, 비천, 유산을 탕진하고 질병으로 고생하기 쉽다.
韓 나라 (한) - 박복, 파란곡절, 단명
海 바다 (해) - 파란곡절, 인생이 바다의 풍파 같다.
幸 (행) - 질투심이 많고 융통성이 없으며 관재구설을 당한다.
香 (향) - 재물복이 박하고 배우자와 생리사별한다.
虎 범 (호) - 불손, 과격, 고독, 병고, 신유생은 불용, 대개 단명하는 사람이 많고 가난하다.
玄 (현) - 재물복이 박하고 배우자와 생리사별한다.
好 좋을 (호) - 시종이 다르다. 무산, 고뇌, 실패가 많이 따른다.
紅 붉을 (홍) - 경솔, 경박, 고독, 불운, 단명하기 쉽고 매상에 일이 지연된다.
花 꽃 (화) - 온유하나 줏대 없어 유흥, 사치, 패가망신, 화류계, 하천 화류계 여성이거나 부부운 불길하다.
孝 효도할 (효) - 충직하나 무덕, 고생, 단절, 고난과 불효하게 되며부모가 조실 또는 단명한다.
輝 빛날 (휘) - 강렬, 부침, 손실, 불우
喜 기쁠 (희) - 형제 불화, 자손 수심, 단명, 허영심이 많고 관재구설이 끊이지않으며 배우자 운 박하다.
姬 계집 (희) - 자립, 개척, 고생, 불운, 독선적이고 부모덕이 박하고 금전문제가 일생동안 끊이지 않는다.
길한한자
명자로 쓰면 좋다고 전해 내려오는 글자로 불길한자는 많지만, 길한 한자는 많지 않습니다.
한자는 상형(象形)문자이므로 글자마다 뜻과 기(氣)가 있으니 각자의 사주에 부합하는지를 살펴야만 합니다.
基 터 (기) 光 빛 (광) 國 나라 (국)
斗 말 (두) 泰 클 (태)
鳳 봉새 (봉) 秉 잡을 (병) 飛 날 (비) 八 여덟 (팔)
承 받을 (승) 成 이룰 (성) 秀 빼어날 (수) 樹 나무 (수) 洙 강 이름 (수) 相 서로 (상) 晳 밝을 (석)
濬 칠 (준) 哲 밝을 (철) 正 바를 (정) 昌 창성할 (창)
永 길 (영) 愚 어리석을 (우) 玉 옥 (옥) 益 더할 (익) 立 설립 (입) 龍 용룡 (용) 義 옳을 (의)
勳 공 (훈) 煥 불꽃 (환) 皇 임금 (황) 衡 저울대 (형) 豪 호걸 (호)
불길한자 명(名)의 검증
吉 길할 (길) 이길여(李吉女) 길의료재단 이사장 김옥길(金玉吉) 이화여대 총장
國 나라 (국) 안국정(安國正) SBS 사장 신영국(申榮國) 국회의원
甲 첫째 (갑) 정회갑(鄭回甲) 서울대 음대학장 한갑수(翰甲洙) 국회의원 농림부장관
男 사내 (남) 장호남(長虎男) 카이스트 교수 신승남(愼承男) 검찰총장
明 밝을 (명) 이명박(李明愽) 대통령 한명숙(韓明淑) 총리 오 명(吳 明) 과기부장관
美 아름다울 (미) 조수미(曺秀美) 성악가 송미령(宋美齡) 대만총통 부인
福 복 (복) 주영복(周永福) 공군참모총장 박경복(朴敬福) 하이트맥주 회장
四 넉 (사) 신사훈(申四勳) 스탠퍼드대학교 교수 윤사환(尹四煥) 서울대 기업CEO
壽 목숨 (수) 김수환(金壽煥) 추기경 정수창(鄭壽昌) 두산그룹 회장
雲 구름 (운) 배만운(裵滿雲) 대법관 정운찬(鄭雲燦) 서울대학교 총장
日 날 (일) 김일성(金日成) [성주]에서 개명[일성] 홍일표(洪日杓) 사법연수원 원장
夏 여름 (하) 최규하(崔圭夏) 대통령 장하진(張夏眞) 여성부장관
海 바다 (해)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 정해창(丁海昌) 법무부 장관 대통령비설장
虎 범 (호) 현석호(玄錫虎) 국방부 장관 장호남(張虎男) 카이스트 교수
喜 기쁠 (희) 최영희(崔榮喜) 국방부 장관 김종희(金鍾喜) 한국화약그룹 회장
우리나라 소문난 성명학자들이 주장한 [불길문자]라고 소개한 글자로 작명되신 분들의 이름들입니다.
불길한자의 수가 많고 적음을 떠나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이론적 근거가 흔들리는 불확실한 논점임을 확인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불용문자(不用文字) 사용의 올바른 판단은, 한자는 글자마다 음과 뜻이 있고, 문자는 생각과 마음과 뜻을 표현하고 전달하며 보존하는 수단이기에, 한자(漢字)로 작명할 때는 불용한자(不用漢字)는 피하고, 불길한자(不吉漢字)라 하더라도 대법원 인명용 한자에서 길(吉), 흉(凶) 글자 이유만으로 사용에 걱정할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사주를 잘 감명하고 오행 기운(氣運)에 부합하는 좋은 뜻과 글자를 선택하여 성명학적으로 운명과 능력에 알맞게 이름을 지어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면서 세상을 살아감이 인생사계절(人生四季節) 행복할 것입니다.
대표 : 박홍 고객센터 : 1811-7081
사업자등록번호 : 845-96-00968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2019-울산울주-0164호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점촌6길28, 101호 동양아트
parkhongsam (Dongyangart) 101, 28, Jeomchon 6-gil, Beoseo-eup, Ulju-gun, Ulsan, 44925 Korea E-mail : bakhongsam@naver.com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작명역학박홍쌤 웹사이트 콘텐츠, 디자인, 이미지 등은 특허청 상표등록, 서비스표등록 등 저작권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복제사용을 금지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무단도용하였을 경우 볍적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19 작명역학 박홍쌤. All Rights Reserved.
대표 : 박홍 고객센터 : 1811-7081
사업자등록번호 : 845-96-00968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2019-울산울주-0164호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점촌6길28, 101호 동양아트
parkhongsam (Dongyangart) 101, 28, Jeomchon 6-gil, Beoseo-eup, Ulju-gun, Ulsan, 44925 Korea E-mail : bakhongsam@naver.com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작명역학박홍쌤 웹사이트 콘텐츠, 디자인, 이미지 등은 특허청 상표등록, 서비스표등록 등 저작권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복제사용을 금지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무단도용하였을 경우 법적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19 작명역학 박홍쌤. All Rights Reserved.